분류 전체보기 (333) 썸네일형 리스트형 AI와 로봇이 연구자들을 대체하기 시작한다! # 연구 지원로봇 주말에 밤낮 없이 반복 실험을 할 수 있는 실험실 로봇이 개발되었다. KUKA에서 개발한 실험 로봇은 하루 22시간 (2시간은 충전) 동안 근무 가능하여 반복적인 연구 작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임. 로봇이 휴식 없이 풀타임으로 일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 연구원보다 1000배 빠르게 실험 수행가능하다고 밝힘. 이 로봇을 통해 과학자들이 반복 실험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함. 로봇의 비용은 기본 하드웨어 비용만 대략 12.5만달러 수준. https://zdnet.co.kr/view/?no=20200709132144 英 대학, 단순 반복 연구 사람보다 1000배 빠른 실험실 로봇 개발 주말과 밤낮 없이 실험실에서 하루 종일 실험을 할 수 있는 실험.. 네이버 쇼핑 검색광고, 지금보다 1.5배 더 늘린다. 네이버가 주요 수익모델인 '쇼핑 검색 광고'를 1.5배 확대 한다. 이에 따라 쇼핑검색광고 매출 비중(1Q20 기준 전체의 43%)도 더 커질 전망이다. 네이버는 15일부터 PC와 모바일 쇼핑 검색 결과페이지에 뜨는 광고 개수를 기존 4~8개에서 6~12개로 늘리기로 결정했다. 지난 15일부터 22일까지 쇼핑 검색 광고 개수를 늘려보는 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이용자 편의, 광고주 반응, 광고 효과 등을 고려한 결과 이런 결정을 내리게 됨. 위와 같은 형태가 될 것. 쇼핑 검색 광고는 2016년에 나온 광고 상품. 광고주의 상품을 일반 상품보다 상단에 배치하는 이미지형 검색 광고. CPC 과금 방식 차용. 광고 단가는 최저 50원에서 최고 10만원까지 경매로 정해짐. 소상공인들도 예산에 따라 적극 활용이 가.. 네이버보다 카카오톡 더 많이쓴다?! 모바일 빅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네이버앱 대비 카카오톡의 MAU가 더 많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카카오톡의 MAU는 3559만명인데, 네이버의 MAU는 3016만명이었다. 1인당 평균 사용시간 및 사용 일수 모두 카카오톡이 우세했다. 다만 다른 앱들 같은 경우, 대부분 네이버 쪽의 사용량이 더 많았다. SNS에서는 네이버 밴드가 사용자수 1700만명으로 압도적인 1위였다. 네이버 밴드는 인스타그램(1150만명)보다도 사용자 수가 많았다. 지도, 내비게이션 분야에서도 네이버지도가 압도적인 1등이었고, 웹툰/웹소설 분야에서도 1등이었다. 반면 네이버가 앱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금융, 결제, 모빌리티에서는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카카오T 앱이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귀한 자료라고 생.. 유통업계 - 쏟아지는 규제 입법 유통업계 전반이 코로나19로 인한 소비 침체로 부진한 실적 기록 중. 이런 상황에서 기존보다 더 강한 규제 법안 나옴. 오프라인 유통업체에만 집중된 규제를 온라인몰과 프랜차이즈 업체로 확장시키려는 움직임 있음. 이번 규제 법인은 총 12개. 이 중 6개인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에는 복합쇼핑몰, 백화점, 아웃렛, 면세점, 전문점도 한 달에 2번 문을 닫게하는 내용이 담겼음. 또 대규모 점포 개설을 위해 필요한 행정 절차를 현행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변경하기로 함. 대형 매장 짓지 못하는 '전통상업보존구역'도 현행 경계 1km에서 최대 20km까지 늘리는 개정안 발의. 하지만 쇼핑몰 입점 브랜드의 70%는 중소업체. 오히려 이쪽이 타격입을 것이라는 시각 있음. 온라인몰 규제는 직전 매출이 1000억 이상인 모든.. 테슬라가 한국에 전기차 공장을 세울까? 최근 조선일보에서 기자가 테슬라가 한국에 전기차 공장을 세울 수밖에 없는 이유라는 제목으로 칼럼 같은 글을 썼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너무 논거가 부족한 글인 것 같아서 반박 글을 써보려 합니다. 관련 기사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세요. 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9/2020070901654.html 테슬라 전기차 공장, 일본보다 한국에 올 수 밖에 없는 이유 ※디코드(decode): 부호화된 데이터를 알기 쉽도록 번역하는 것. 흩어져 있는 뉴스를 모아 세상 흐름의 안쪽을 연결해 봅니다. ‘뇌피셜’이 .. news.chosun.com # 기자가 주장하는 테슬라가 한국에 전기차 공장을 지을 것 같다는 이유 우선 이런 논의가 나.. KT, 쿠콘과 협력하여 금융기관 위한 API 클라우드 출시 KT가 비즈니스 정보 제공 전문기업인 쿠콘과 협력하여 금융기관을 위한 API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 선보인다고 발표. 이번에 출시되는 금융 API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업자 휴폐업 조회, 신분증 진위확인, 예금주 조회, 자동차 등록원부 통합 조외 등 4종. 이 서비스들은 KT 클라우드 인프라로 제공되어 고객사 내부 시스템과 쉽게 연결할 수 있음. 쿠콘은 금융, 공공, 유통, 의료 등 산업별 정보를 API 형태로 제공하는 기업. KT는 이번 서비스가 간편결제, 가상계좌, 본인인증 등 이용하는 금융기관 뿐 아니라 지급결제 서비스 활용하는 전 비즈니스로 확장 가능하다고 기대하고 있음. (여기서 주목해야하는 기업은 쿠콘. 쿠콘은 웹케시 계열 회사로 현재 기업가치와 실적이 빠르게 상승하는 중. 향후 기회를 봐서 분.. 코로나로 인해 기업들이 비용 절감하면서 데이터 분석, 자동화 스타트업 가치 상승 향후 AI(Artificial Intelligence),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채택률 높은 기업이 경쟁 우위 가지게 될 것.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비용 절감을 하게 되면서 데이터 분석, 자동화 스타트업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오고 있음. 지난 4년 동안 기업들의 90%는 AI와 RPA의 중요성을 체감하였음. 최근 경제 침체에도 AI와 RPA 솔루션에 대한 지출은 오히려 늘었음. 데이터 분석 스타트업인 Tredence는 2020년 1분기에 전년 대비 25% 성장하였음.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침체 이후 새로운 딜들이 많이 들어오고 있음. 작년 전체 신규 고객 수만큼을 올해 상반기에 새로 받음.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는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 할 완벽한.. IPO - 솔트룩스 상장 예정 # 기업 내용 솔트룩스는 지난 20년 간 자연어처리 등 인공지능(AI) 기술 연구한 기업. 솔트룩스는 7월 23일 상장할 예정. 3년 내 영업이익 100억원 달성하겠다는 목표 밝힘. 2019년 솔트룩스는 매출 183억 / 영업이익 0.25억 / 순이익 8억 달성. 이 실적을 2022년까지 매출 349억 / 영업이익 100억까지 끌어올릴 계획. 솔트룩스는 지난 20년 동안 R&D와 AI인재 확보에 300억 원 이상 투자. 특허 출원 132건, 등록 특허 70건 등 AI 업계에서는 최대 규모로 지적재산권 확보. 고객사는 1500여 개 확보. 매출은 연 평균 23%씩 성장하고 있음. 기존 고객한테서도 새로운 매출 만들어지고 있음. 솔트룩스의 핵심 원천 기술은 심층적인 대답이 가능한 대화형 인공지능, 머신러닝 ..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