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33) 썸네일형 리스트형 구독경제(Subscription Economy) 전성시대 # 구독경제 시대가 오고있다. 디지털 콘텐츠부터 식사, 의류, 주거공간, 이동 수단 모두 구독경제의 범주 안으로 들어오고 있음. 구독 경제는 소비자가 일정 금액(정기 구독료)을 내고 정기적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비즈니스 모델. 과거 신문, 우유 정기 배송이 그 시초라고 볼 수 있음. 최근에는 MZ세대 중심으로 소비 패러다임이 소유에서 공유, 공유에서 구독으로 바뀌면서 구독이 메가트렌드가 되고 있음. 크레딧스위스(CS)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구독경제 규모는 2015년 4200억 달러 규모에서 2020년 53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코로나 때문에 언택트 소비 증가하면서 구독 경제 갑자기 성장 빨라졌음. # 서비스 예시 1. 의(衣) 서비스 - 키즈픽 - 매달 10벌의 유아, 아동.. 20200715 한국 주식시장 주요 공시 [코스피] # KT&G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715800455 증권선물위원회 조사, 감리 결과 조치사항 증권발행제한 2월 감사인지정 1년 시정요구 개선권고 지적사항 인도네시아 주주간 계약 - 회계처리 누락 제품하자 보상 관련 충당부채 등 미계상 등 [코스닥] # 영우디에스피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715900098 단일판매 공급계약 체결 계약금액: 308.4억 계약상대방: CSOT # 엘아이에스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715900134 레이저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의 건 계약금액: 316억 계약상대방: CSOT .. 20200714 한국 주식시장 주요 공시 [코스피] # 오리온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714800100 6월 잠정실적 공시 매출 - 한국 589억(YoY 7.1%), 중국 730억 (YoY 19.5%), 베트남 185억(YoY 5.1%), 러시아 69억(YoY 53.3%) 영업이익 - 한국 70억(YoY-6.7%), 중국 81억(YoY +224억), 베트남 29억(YoY 45%), 러시아 12억 (YoY 140%) # 대덕전자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00714800143 신규시설투자 투자금액 900억 신규 비메모리 반도체 FCBGA 시장 확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CAPA 증설 # 쎌마테라퓨틱스 http://dart.fs.. 한국판 뉴딜 내용 정리 한국판 뉴딜 7월 14일 발표된 한국판 뉴딜 정책 내용 정리 입니다. 참고해주시고, 퍼가실 때에는 출처를 명시해주세요. [추진배경] - 코로나 이후 위기 극복 위한 전략 저숙련 공공일자리를 넘어 디지털, 그린 경제 등 구조적 전환 디지털, 그린 경제 필수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여 투자 회복 및 일자리 창출 디지털, 그린 경제 활성화 위한 법령 개정 및 전국민 고용보험, 탄소중립 기반 마련 [코로나 이후 구조적 변화 특징] - 비대면 수요 급증하면서 디지털 경제로 전환 가속화 온라인 소비 비중 2020년 2~5월 27%까지 상승. 스마트워크, 재택근무, 사이버교육 등 전분야 디지털화 촉진 - 저탄소, 친환경 경제에 대한 요구 증대 재생에너지 사용량 증대 필요 - 디지털화 되면서 노동시장 양극화 심화 노동집약.. 네이버, 한국의 아마존 되려하나? 네이버는 6월 1일에 국내 검색사업자로는 국내 최초로 유료 멤버십인 '네이버 플러스' 출시. 무료 체험 1달 지나고 남은 가입자 수는 대략 50만 명 수준으로 추정. 하지만 네이버에서는 공식적으로 가입자 수나 전환율 공개하지 않고 있음. '네이버플러스'의 핵심은 페이 포인트 적립 통한 쇼핑 락인 효과. 한 달에 네이버 페이로 10만원 이상 쓰면 멤버십 돈 내더라도 이익 볼 수 있음. 실제 플러스 가입 기점으로 네이버 페이 월 객단가 증가함. 네이버플러스는 모든 서비스를 플랫폼으로 끌어들이는 아마존의 전략과 비슷. 아마존도 '아마존 프라임'을 통해 멤버십 서비스 제공하는데, 멤버십 이용자들은 비회원 대비 연 평균 2배 가량 높은 객단가 보임. 하지만 네이버플러스는 아직 아마존 프라임과 쿠팡의 로켓와우클럽 .. 카카오M - 2023년에는 영화, 드라마 등 콘텐츠 연 15편 출시할 것 종합 콘텐츠 기업인 카카오M이 2023년에는 연 15편의 영화와 드라마를 선보이겠다는 계획 발표. 김성수 대표는 콘텐츠 중심으로 새로운 IP 기획, 발굴하고 다양한 사업 영역으로 확장하여 안정적인 부가가치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제시하겠다고 밝힘. 카카오M이 언론 행사 연 것은 2018년 이후 처음. 그동안 카카오M은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등 주요 음악레이블 4곳, BH엔터테인먼트 등 배우 매니지먼트사 7곳, 로고스필름 등 드라마 제작사 3곳, 월광 등 영화 제작사 2곳 등 인수하거나 협약 맺으면서 콘텐츠 산업 전반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음. 이러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최소 연 4천억 이상 규모의 음악 및 영상 콘텐츠 제작하겠다고 밝힘.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도 2023년까지 총 3000억원 투자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연매출 1억원 이상 사업자 40% 증가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개설 급증 & 성공한 자영업자 급증 네이버는 소상공인 온라인 창업 지원 툴인 스마트스토어를 통해 최근 1년간 연 매출 1억 원 이상 달성한 판매자가 2.6만명을 넘었다고 공개함.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수치. 6월 한달 동안만 1억 이상 매출 올린 판매자는 작년 대비 2배 이상 늘어서 2800명 기록. 디지털 전환 성공한 소상공인들이 크게 성장한 것으로 분석 됨. 코로나를 기점으로 온라인 창업에 뛰어드는 신규 판매자도 늘고 있음. 2018년에는 월 평균 1.5만개 수준의 판매자가 추가되었지만 2020년 4월 기준 월 평균 3.5만개씩 늘어나는 중. 코로나 심했던 3월에는 무려 3.7만개 생겨남. 코로나 이후 신규 판매자 비중은 2~30대가 67%로 가장 높은 비중 차지.. 카카오커머스 톡딜, 1년 만에 28배 거래액 증가 # 카카오커머스 톡딜 근황 1년만에 톡딜 상품 11만개 달성. 거래액은 28배 성장. 톡딜 참여건수는 26배 이상 늘었음. 가장 인기있는 상품은 신선식품 분야. # 톡딜은 어떤 서비스일까? 톡딜은 2019년 6월 출시된 서비스. 카카오톡 스토어 기반의 카카오톡 쇼핑하기가 선보인 공동구매 서비스. 2명만 모여도 공동구매 할인 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 출시 이후 매 분기 2배 이상 성장 중. 이용자는 쉽게 할인가로 상품 구매할 수 있고 제조사 및 판매자는 단기간에 판매 촉진과 재고 소진 가능해서 호응 얻고 있음. 2020년 2월부터는 카카오장보기에도 톡딜 적용하고, 다양한 기능 도입 중. 톡딜을 통해 상생 프로모션으로 국내 제조 및 유통사 재고 소진해주는 행사도 진행한 바 있음. 톡딜은 향후 카카오톡에 최..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2 다음